본문 바로가기
미국증시 날짜별 종합분석

[속보] 2025년 7월 15일 미국 증시 마감: 다우 하락, 나스닥 소폭 상승! 트럼프 관세 발언과 CPI 쇼크의 향방은?

by knowledge7 2025. 7. 16.
728x90
반응형

핵심 요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022.89 (-0.98%) 하락
  • S&P 500 지수: 6,243.71 (-0.40%) 하락
  • 나스닥 종합지수: 20,677.80 (+0.18%) 소폭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718.61 (+1.27%) 상승
  • 주요 이슈: 트럼프 전 대통령의 EU 및 멕시코 관세 발언, 예상 밖 CPI 2.7% 발표
  • 특징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기술주 선방 속 테슬라, 은행주 하락

어제(2025년 7월 15일) 뉴욕 증시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S&P 500 지수가 하락한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소폭 상승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장 초반 트럼프 전 대통령의 EU 및 멕시코에 대한 30% 관세 서한 발송 소식에 하락 압력을 받았으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가능성 발언이 나오면서 낙폭을 일부 만회했습니다. 또한, 예상치를 뛰어넘는 2.7%의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대한 재조정 우려를 키웠습니다.

1. 주요 지수 동향 및 시장 분위기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관세 이슈와 물가 압력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436.76포인트(0.98%) 하락한 44,022.89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 역시 24.85포인트(0.40%) 내린 6,243.71로 마감했습니다. 반면,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종합지수는 37.47포인트(0.18%) 상승한 20,677.80을 기록하며 기술주의 상대적 강세를 입증했습니다.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7% 상승하며 반도체 관련 종목들이 선방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2. 시장을 움직인 주요 이슈

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언: 트럼프 전 대통령이 EU 및 멕시코에 대해 3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발송하며 무역 긴장감이 고조되었습니다. 이는 장 초반 증시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나, 이후 협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이 나오면서 시장의 우려를 일부 완화했습니다. EU는 해당 관세가 사실상 무역 중단을 의미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으며, 멕시코는 8월 1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독자적인 대응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나. 예상 밖 CPI 2.7% 발표: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CPI는 예상치인 2.5%를 웃도는 2.7%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며,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금리 인하 기조가 전면 재조정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낳았습니다. 미 국채금리 역시 CPI와 소매판매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으며, 특히 장기물 위주로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3. 특징주 분석

어제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 대형주들의 움직임이 두드러졌습니다.

  • 반도체 강세: **엔비디아(NVIDIA)**는 4.01% 상승하며 170.65달러를 기록했고, AMD 역시 6.41% 급등하며 155.61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을 견인한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 빅테크 혼조: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0.56% 상승한 505.82달러, **아마존닷컴(AMZN)**은 0.27% 상승한 226.30달러를 기록하며 소폭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테슬라(TSLA)**는 1.93% 하락한 310.78달러에 마감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메타(META)**는 1.46% 하락한 710.39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금융주 약세: **뱅크오브아메리카(BAC)**는 1.95% 하락했고, **JP모건(JPM)**도 0.74% 하락했습니다. 다만, **씨티그룹(C)**은 3.68% 상승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 개별 종목: **코인베이스(COIN)**는 1.50% 하락했으며, Eli Lilly는 3.45% 하락했습니다. 반면, 소형 제약주인 Cyclacel Pharmaceuticals는 270.39% 폭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4. 국제 유가 및 환율 동향

국제 유가는 러시아 제재 및 관세 이슈에도 불구하고 하락 마감했습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2.15% 하락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달러 강세 기조 및 관세 불안으로 인해 1,380원을 상회하며 최근의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5. 투자 시사점

어제 미국 증시는 무역 정책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교차하며 변동성 장세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예상치를 상회한 CPI 지표는 연준의 통화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웠으며, 이는 당분간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개별 기업의 실적과 함께 거시 경제 지표의 발표를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 관세 이슈의 진행 상황과 연준의 다음 행보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관련 뉴스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키워드: 미국 증시,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CPI, 소비자물가지수, 트럼프 관세, 금리 인상, 금리 인하, 연준, FOMC, 엔비디아, AMD,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금융주, 국제 유가, 환율, 경제 지표, 주식 시장 분석, 2025년 7월 15일

 
 
 
 
 
 
728x90
반응형